본문 바로가기

시민소통

자유게시판


[대표] - 시민소통 > 참여소통채널 > 자유게시판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내용, 파일 제공
제목 2006년 마늘, 양파생산량조사결과
작성자 이정아
내용
ꏚ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은 금년 마늘?양파 생산량조사를 수확기(6월)동안 80여개 표본지점 (마늘 56, 양파 24)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금년 경기도의 마늘?양파 생산량은 각각 4,282톤, 782톤이라고 밝혔다.
◦ 이는 전년 마늘생산량 4,807톤보다 525톤(10.9%), 양파는 2,133톤보다 1,351톤(63.3%) 감소한 것이다.

ꏚ 올해 경기도의 마늘?양파 생산이 이처럼 감소한 것은 전년에 비해 10a당 수량은 마늘이 113㎏(17.3%), 양파가 341㎏(10.1%) 증가하였으나, 재배면적이 마늘이 177ha(△24.1%), 양파가 42ha(△66.7%) 줄었기 때문이다.

전국의 올해 마늘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28.6천ha로 전년보다 10.0% 감소, 10a당 수량은 1,159㎏으로 1.8% 감소하여 지난해보다 11.6% 감소한 331천톤으로 조사되었으며,
전국의 올해 양파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15.3천ha로 전년보다 8.5% 감소, 10a당 수량이 5,809㎏으로 5.0% 감소하여 지난해보다 13.1% 감소한 890천톤으로 조사되었다.
ꏚ 이처럼 마늘ㆍ양파의 재배면적이 감소한 까닭은 농가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과 지난해 가격 하락 등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 6?11월 가락시장가격(도매상품, 원/kg)
?마늘(난지) : (‘03)2,076 → (‘04)2,064→ (‘05)1,771(△14.2%)
?양파 : (‘03)802 → (‘04)571 → (‘05)477(△16.5%)

ꏚ 10a당 수량은 마늘, 양파 모두 생육초기 일조시간 및 강수량이 예년에 비해 많이 부족해 생육 상태가 좋지 못했으나, 그 후 기상여건이 호전되어 충분한 일조와 강우가 공급되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 경기도 기상현황
○ 생육초기(3?4월)
? 일조시간 : (평년) 423.1hr → ('05) 446.5 → ('06) 342.0 (△104.5hr)
? 강 수 량 : (평년) 123.0㎜ → ('05) 111.2.→ ('06) 66.8 (△44.4㎜)
○ 생육후기 및 수확기(5월?6월중)
? 일조시간 : (평년) 373.9hr → ('05) 365.6 → ('06) 327.5 (△38.1hr)
? 강 수 량 : (평년) 161.1㎜ → ('05) 119.9.→ ('06) 250.3 (증130.4㎜)

전국의 10a당 수량은 마늘의 경우 상대적으로 냉해에 강한 한지마늘은 수량이 약간 증가 하였으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난지마늘이 냉해 피해로 감소하여 전체 마늘 수량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양파는 서해안 지역의 월동기(12?2월) 폭설과 생육초기인 3월 냉해 피해로 고사 포기가 늘어나고, 생육후기(5?6월)에도 전년에 비해 기온이 낮고 일조량이 적어 제대로 굵지 못해 감소폭이 다소 크게 나타남


파일
댓글 쓰기
나도 한마디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맨위로